1. HTTP 버전 (역사, 표준 등)
ㅇ HTTP 0.9 : 차후 정식 버전과 구분하기 위해 HTTP/0.9로 불리움 (1990년경)
- HTML 문서를 요청해서 이를 가져오는 매우 단순한 초기의 프로토콜
. 단일 라인 요청에 경로 제시 및 GET 메서드로써 문서를 가져오고 연결을 끊는 것이 전부
. 즉, 요청에 데이터(바디)를 포함하지 않음
ㅇ HTTP 1.0 : RFC 1945 (1996년)
- 유용한 초기 개념들 도입
. HTTP 헤더 (요청,응답 모두에서 사용되며, 헤더,바디를 빈 줄로 분리)
. HTTP 메서드
. HTTP 응답 코드
. 리다이렉트, 비지속 연결(non-persistent) 등
ㅇ HTTP 1.1 : RFC 2068 (1997년) => RFC 2616 (1999년) => RFC 7230~7235 (1998년~)
- HTTP 1.0 으로부터 기능 향상
. HTTP 헤더 내 Host 필드를 필수 항목으로 함
.. 따라서, 1개 IP 주소에 다수의 가상 호스팅이 가능해짐
. HTTP 헤더 내 Accept 필드에 의한 컨텐츠 협상
. HTTP 메소드 추가 및 조정
.. OPTIONS,CONNECT,TRACE 추가
.. PUT,DELETE 필수로 됨
. 잘 정의된 캐시 컨트롤
. 블록 단위 인코딩 전송
. 병렬 커넥션
.. 여러 TCP 커넥션을 통한 동시 HTTP 처리 (실제 많이 사용됨)
.. 또한, 요청 파이프라인을 통한 병렬 커넥션 처리도 가능 (실제 사용 거의 없음)
. 지속 커넥션(persistent, 기본 동작)을 통한, 커넥션 재사용
.. HTTP 1.0에서는 요청 헤더에 다음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Keep-Alive로써 구현됐으나,
.. HTTP 1.1부터는 지속 커넥션 접속이 기본 동작이 됨
.. (즉, 기존 TCP 연결을 끊지 않음으로써, 재연결에 따른 TCP 느린 시작에 의한 지연 방지)
. 그 크기를 미리 알 수 없는 컨텐츠의 청크(chuncked) 전송 인코딩 지원
. SSL/TLS에 의한 암호화 통신 지원
ㅇ HTTP 2 (2015)
- SPDY 기반 (RFC 7540)
ㅇ HTTP 3 (2020 ~)
- HTTP 2 업그레이드 버전
- QUIC 기반 (RFC 9114)
- UDP, TLS 1.3을 사용해 성능 향상
2. HTTP 관련 주요 표준
ㅇ RFC 1945 (1996년) : HTTP/1.0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0"
ㅇ RFC 2068 (1997년) : HTTP/1.1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ㅇ RFC 2616 (1999년) : HTTP/1.1 개정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ㅇ RFC 2817 (2000년) : TLS
- "Upgrading to TLS Within HTTP/1.1"
ㅇ RFC 2854 (2000년) : MIME type
- "The 'text/html' Media Type"
ㅇ RFC 5785 (2010년) : URI
- "Defining Well-Known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s)"
ㅇ RFC 6266 (2011년) : Content-Disposition
- "Use of the Content-Disposition Header Field in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ㅇ RFC 7230 (2014년) : 메세지 구문구조 및 라우팅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Message Syntax and Routing"
ㅇ RFC 7231 (2014년)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1.1): Semantics an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