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구조

(2022-05-10)

Block , 블록 , 복합문, 블록문, 블록 명령문


1. 블록 (Block) 이란?

  ㅇ 작은 단위들이 합쳐져 일정 구획을 갖는 집합체를 뜻하는 용어

  ㅇ 例) 
     - [저장장치]  디스크 블록 (디스크데이터 할당 단위)
        . 운영체제가, 디스크,스토리지 등에서, 읽고,쓰고 (I/O), 탐색하는 기본 단위
     - [동영상]    화소 블록 (영상 데이터 처리 단위)
     - [전송기술]  블록 에러 (데이타 전송시, 한 무리의 데이터에 집단적으로 발생되는 오류)
     - [부호화]    블록 부호 (부호화,복호화 시, 데이터를 일정 블록 단위로 묶어 수행하는 방식)
     - [전산]      블록 구조 (프로그램 제어 구조) 등


2. [전산]  블록 구조 (Program Control Structure)프로그래밍 언어인 Algol 60에서 최초로 나온 개념

  ㅇ 특징
     - 블록 내부에서 만 유효한 변수선언할 수 있으며,
     - 새로운 프로그램 환경의 설정도 가능한 구조

  ㅇ 동작방식
     - 프로그램 수행 제어가,
        . 블록에 진입할때, 기억장소 할당이 이루어지고,
        . 블록을 벗어나면, 할당된 기억장소가 회수되어, 그곳으로의 재 접근이 안됨

  ㅇ 블록 구조를 갖는 프로그래밍 언어 例)
     - ALGOL, PASCAL, C, C++, Java3. [전산]  복합문 또는 블록문 또는 블록 명령문

  ㅇ 통상, 문장 여러 개를 중괄호({ })로 둘러싼 것
     - 이같은 복합문 끝에는, 세미콜론(;) 등에 의한 문장 종료 표시를 하지 않음

  ㅇ 복합문 용도
     - if문(조건문),while문(반복문) 등의 제어 구문
     - 함수 정의문 등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