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콘트라스트 / 휘도대비 / 명암대비 (Contrast) 이란?
ㅇ 전혀 반대의 성질을 가진 것들이, 서로 통일,조화되고 있는 것을 말함
- 대조, 대비, 대립 등의 뜻을 갖음
ㅇ 주로, 밝은 것과 어두운 것과의 대비
- 색(Color) 또는 밝기(Brightness)의 차이/대비의 강도
. (例) 짙은 회색과 백색 : 콘트라스타가 높음
. (例) 옅은 회색과 백색 : 콘트라스타가 낮음
ㅇ [참고] ☞ 콘트라스트 변조도 참조
2. (시각 특성) 콘트라스트에 대한 인간 시각 특성
ㅇ 절대적 보다 상대적인 것에 더 민감 함
- 빛의 절대적인 밝기(휘도) 또는 색상 보다는, 상대적인 차이(즉, 대비)에 더 민감 함
ㅇ 색상 보다는 밝기에 더 민감 함
- 밝기 차이 보다는, 색상 차이가 눈이 감지하는 능력에서 1/4 정도로 낮음
ㅇ 보는 방향에 따라서도 민감성이 다름
- 세로 방향(위아래) 보다는, 가로 방향(좌우)의 변화에 시각 인식이 보다 민감한 편임
3. (시간 관계) 동시 대비, 순차 대비
ㅇ 동시 대비 (simultaneous contrast)
- 동시에 보이는 다른 색상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색 대비 참조
. 명도 대비, 밝기 대비 (Brightness contrast, Luminosity contrast)
.. 검은 색에 이웃하는 회색은 더 밝게, 흰색에 이웃하는 회색은 더 어둡게 보임
.. 어두운 배경에서는 더 밝게, 밝은 배경에서는 더 어둡게 보이는 등
.. 명도 차이가 클수록 대비가 강하게 느껴짐
. 색상 대비 (Hue Contrast)
.. 동일 색상이라도 인접한 배경색에 따라 원래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
. 채도 대비 (Chroma contrast)
.. 배경색 채도(색의 순도/강약)에 따라 원래 색의 채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
ㅇ 순차 대비 (successive contrast)
- 순차적으로 다른 색상을 보며 영향을 받음
. 잔상 대비 (Afterimage contrast)
.. 먼저 본 시각 자극에의 잔상이 남음으로 인해 기인함
4. (비율 관계) 콘트라스트 비, 대비 비, 명암 비 (Contrast Ratio)
ㅇ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밝기와 가장 낮은 밝기의 比
- 최대 밝기를 최저 밝기로 나눈 값
- 따라서, 콘트라스트 비율이 높을수록,
. 밝은 장면뿐만 아니라 어두운 장면에서도, 섬세하고 조밀한 영상을 표현할 수 있음
5. (감도 차이) 콘트라스트(명암비) 감도, 휘도대비 감도 (Contrast Sensitivity)
ㅇ 인접한 영역 간의 밝기 차이(휘도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
6. (색 관계) 보색 대비 (Complementary Contrast)
ㅇ 보색끼리 이웃할 때 색상이 더 뚜렷해지며 선명해지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