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컴퓨터 버스
ㅇ 컴퓨터 메인보드 내 프로세서,메모리,주변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스템이 원할하게 가동되도록, 데이터 전송 역할을 하는 공통의 통로 ☞ 버스 구조 참조
ㅇ 통상, 범용의 컴퓨터 시스템은,
- 1 이상의 CPU와 공유 메모리 사이에서,
- 공통 버스를 통해 연결된 여러 장치 컨트롤러들로 구성됨
2. 컴퓨터 내 버스의 종류
ㅇ 내부 버스
- 주로, 컴퓨터 CPU 칩 내부의 신호 연결
- 즉, CPU 내 레지스터 간을 연결
ㅇ 외부 버스
- 구조 상의 구분 : 시스템 버스(데이터 버스,주소 버스,제어 버스), I/O 버스 등
- 신호 기능 구분 :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
3. 주요 컴퓨터 버스들의 例
ㅇ 시스템 버스 (메인 버스)
- CPU 와 노스브리지(North Bridge) 칩셋 간의 데이터 통로
. 주로, 컴퓨터 CPU 보드 즉, 인쇄회로기판(PCB) 상의 전기적 신호
. CPU, 기억 장치, I/O 장치 간의 상호연결
ㅇ 메모리 버스
- 시스템 버스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임
ㅇ I/O 버스
- PCI 버스 등
ㅇ 그래픽 버스 (그래픽 I/O 버스)
- AGP 버스 등
ㅇ 칩셋 간의 버스
- 노스브리지(North Bridge) 및 사우스브리지(South Bridge) 간의 버스
※ (성능 개선)
- 시스템 버스 : CPU 보드(PCB) 설계 상의 많은 발전이 있어왔음
- I/O 버스 : 전자파 장애, 간섭 등으로 고속화에 많은 어려움
4. 컴퓨터 버스의 동작시 고려사항들
ㅇ 개별 장치에 대한 접속/접근 방법
ㅇ 버스 경합시 중재 방법
ㅇ 장치의 연결 방법
ㅇ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DMA 방법 등
5. 컴퓨터 버스 구조의 표준화
ㅇ 컴퓨터 내외부 버스구조가 확립되어야,
- 시스템 내부의 각 모듈들의 전기적,기능적인 인터페이스를 규정하여 상호연결성이 확보되며,
- 규정에 맞게 제작된 디바이스들을 수정없이 사용(탈착, 접속 등)이 가능할 수 있게됨
ㅇ 표준화되거나 특정회사 독점적인 방식이 있음
- 시스템 버스 : 주로, 특정 업체가 주도하게 됨
.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조에 시스템 버스가 종속적이기 때문임
- I/O 버스 : 여러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가능한한 범용성있게 표준화하고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