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상 상자 (Virtual Container, 가상 컨테이너)
ㅇ 동기식전송방식(SDH)의 경로계층(Path Layer) 내에서 운반되는 동기식 신호단위
- 한편,
. VC는 분기결합 또는 교차연결를 쉽게 하기 위해 규격화시킨 다중화 단위 임
. 경로계층 중간 그 어떤 장치도 가상상자 내부 내용을 수정할 수 없음
. SONET 방식에서는 VT(Virtual Tributary)가 VC(가상상자)에 상응하는 신호임
2. 가상상자의 특징
ㅇ 기본 구성
- 목적지 및 기타 관리정보(오버헤드)를 담은 경로오버헤드(POH)에다가
유료부하공간인 상자(컨테이너,C)를 더한 것
ㅇ 신호 반복 주기
- 125㎲ 또는 500㎲를 주기로 반복됨
ㅇ VC 위치 및 위치확인
- VC는 STM-n 페이로드(Payload) 내에서 독립적인 데이터 덩어리로써 운반됨
- 그 위치 확인은 포인터 및 옵셋 값들을 통해 이루어짐
3. 교차연결 등을 위한 규격화된 다중화 단위
ㅇ 동기식 전송망에서는 크기가 규격화된 여러 가상상자를 마련해 놓고,
- 전송될 정보를 여기에 넣어서 이들을 차곡차곡 쌓아가는 방법으로 다중화
ㅇ 마치 상자를 삽입 또는 추출하는 식으로 분기결합(Add-Drop) 또는 교차연결(Cross-
connect)를 쉽게 하고 있음
- 바로 이렇게 규격화된 다중화 단위로써의 가상상자를 가상 컨테이너라고 함
ㅇ 이 가상상자는 정보를 실을 수 있는 정형화된 상자(Container)에 유지보수 및 감시
제어를 위한 오버헤드(POH)가 추가됨
4. 가상상자의 종류 및 매핑 과정 ☞ 동기식다중화 신호구조 참조
ㅇ 저위 가상상자
- VC-11 <= ( 저위경로 POH ) + C11 <= DS-1
- VC-12 <= ( 저위경로 POH ) + C12 <= DS-1E
- VC-2 <= ( 저위경로 POH ) + C2 <= DS-2
* POH : 각 상자(C)에 1 바이트 짜리 POH 씩 되며,
연속된 4 상자(C)의 가상상자(VC)로써 4 바이트 짜리 POH(V5)가 됨
ㅇ 고위 가상상자
- VC-3 <= ( 고위경로 POH ) + C3 <= DS-3, DS-3E
<= TUG-2 x 7
- VC-4 <= ( 고위경로 POH ) + C4 <= DS-4E
<= TUG-3 x 7
* POH : 9 바이트 짜리 1 열로 구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