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Critical Band 임계 대역 | (2021-04-16) |
1. 임계 대역
ㅇ 1940년 Harvey Fletcher에 의해 소개된 개념
ㅇ 인간 청각 특성은,
- 개별 연속된 주파수별 즉,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 수십개의 병렬 음역별로 개별화된 뭉치들로 인식함
ㅇ 즉, 음의 세기가 같더라도, 그 음이 차지하는 대역폭(음역)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달라짐
- 인간의 귀는 일련의 BPF로 구성된 장치 처럼 동작함
- 각각의 BPF 음역은 대략, 1/3 옥타브 밴드 이지만, 주파수가 높아지면 그 폭도 커짐
2. 임계 대역 모델링
ㅇ 인간의 청각시스템을, 연속으로 중첩(일련의 서브밴드들로 구성)된 수십 개의
대역통과필터(BPF)의 배열로 모델링할 수 있음
ㅇ 각각의 임계대역별로 별도 처리되어 인식되어짐
- 즉, 같은 임계대역(서브밴드) 내의 주파수들은 비슷하게 느껴지고,
다른 임계대역들과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음
ㅇ 보통,
- 24개 또는 32개 서브밴드로 구분 ☞ 부대역 부호화(Subband Coding) 참조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