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간 오버헤드 (SOH)
  ㅇ 동기식 다중화 전송방식에서,
     - STM-n 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 (전송 성능 표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 구현 등)
     - 특히, 재생기 구간 또는 다중화기 구간 중에 전송 신뢰성을 제고토록, 
     - STM 프레임 내에 삽입,추출되는 오버헤드
  ㅇ 구간 오버헤드의 삽입 시점 및 위치
     - (시점) STM-n 신호가 구성되는 마지막 단계(시점)에서,
     - (위치) STM 프레임 맨 앞부분에 삽입됨
2. STM 프레임 구조 내 구간 오버헤드의 위치
  ㅇ 구간 오버헤드의 위치
     - STM 프레임 앞부분에 있는 오버헤드 바이트 9행 x 9열의 구조 중에,
     - AU 포인터 1행 9열의 윗부분 3행 x 9열 (RSOH), 아랫부분 5행 x 9열 (MSOH)에 각각 위치함
     - 그 뒤에 유료부하(Payload)라 하여 실제의 정보가 들어감
      3. 구간 오버헤드(SOH)의 구분
  ㅇ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 (RSOH)   
     - 재생기 구간 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
  ㅇ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 (MSOH) 
     - 다중화기 구간 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
     * 한편, 재생기들은 다중화기구간오버헤드(MSOH)를 그냥 투명하게 통과시키게됨
4. 구간 오버헤드(SOH) 부착 후 STM-n 형성
  ㅇ AUG를 n (1,4,16,64)개 바이트 교직 다중화시킨 후에,
  ㅇ 구간 오버헤드를 부착하여,
  ㅇ STM-n을 형성하게 됨
3. 구간 오버헤드(SOH)의 구분
  ㅇ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 (RSOH)   
     - 재생기 구간 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
  ㅇ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 (MSOH) 
     - 다중화기 구간 마다 확인되는 구간 오버헤드
     * 한편, 재생기들은 다중화기구간오버헤드(MSOH)를 그냥 투명하게 통과시키게됨
4. 구간 오버헤드(SOH) 부착 후 STM-n 형성
  ㅇ AUG를 n (1,4,16,64)개 바이트 교직 다중화시킨 후에,
  ㅇ 구간 오버헤드를 부착하여,
  ㅇ STM-n을 형성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