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quency Tolerance   주파수 허용 편차

(2020-09-30)

1. 주파수 허용편차

  ㅇ 기준 주파수와 실제 발사된 주파수 간에 어느정도 허용되는 일정 한도의 편차

  ㅇ 무선국 등에 지정되는 주파수와 실제로 발사된 주파수 간에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 기술적으로 곤란하여 어느정도 허용되는 일정 한도의 편차를 말함


2. 주파수 허용편차 정의/설명

  ㅇ 법규상의 정의 
     - 발사에 의해 점유하는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지정 주파수 사이에 허용될 수 있는,
        . 최대편차 또는 발사의 특성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는 최대편차
     - 주로, 백만분율(ppm) 로 표시
        . (드물게, 헤르츠(Hz)로도 표현하나, 이는 엄밀성이 부족한 표기임)

  ※ 전파법/무선설비규칙 등에서, 주파수 허용 편차를 정해 줄 때,
     - 무선국의 종류, 발사 전파의 주파수, 발사 전력 등 그 특징에 따라 다르게 정하고 있음

  ㅇ 표시 방식                                                       ☞ 상대 주파수편차 참조
     - 주파수 허용편차 또는 주파수 정확도 = (최대 주파수 편차)/(기준 주파수)
        . 단위 : (무차원 比) [μ Hz/Hz], [Hz/M Hz], [ppm] (10-6, 백만분율)


3. 개략적인 주파수 허용편차 수준휴대인터넷          : ± 0.02 ppm이동전화            : 1.5 ppm (또는 2.5 ppm) 이하
     - GSM 등에서는 0.005 ~ 0.01 ppm 정도
        . 기지국핸드오프를 위해 보다 엄격한 규격을 적용하는 경향임
  ㅇ 무선랜, 블루투스 등 : ± 50 ppm 이하 등


4. GSM 표준 例)3GPP TR 45.050 `Background for Radio Frequency (RF) requirements`
     - Radio Frequency Tolerance
        . `In the present system the mobile has to be designed to work with 
           a Doppler Shift caused by speeds up to 250 km/h at 900 MHz, and 130 km/h
           at 1800 MHz. 
           This corresponds to a frequency offset of around 250 Hz in both cases.`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