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리학 (Pathology, 病理學)
ㅇ 질병의 원인,발병 원리,경과,예후,영향,분류 등을 연구하는 기초 의학
- 질병의 원인,구조(메커니즘) 및 건강과 질병의 차이를 이해하려고 함
- 궁극적으로, 질병의 효과적인 예방,치료에 공헌하는 것
ㅇ 기초 의학이기도 하지만,
- 해부학,세포 생물학,생리학,생화학의 기반 위에 존재하며,
- 임상 의학으로 가는 다리역할을 하는 학문
ㅇ 어원 : 그리스어 (pathos 고난 + logos 학문)
ㅇ 구분 : 실험 병리(experimental pathology), 외과 병리(surgical pathology)
2. [참고사항]
ㅇ 병원체 (Pathogen, 病原體)
- 생물체(인간 등)를 감염시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 例) 세균/박테리아,곰팡이/진균,바이러스,원충(말라리아,이질아메바 등),기생충,단백질 등
- 단, 감염된다고 모두 병원체는 아님
ㅇ 질병 (疾病), 질환 (疾患) (disease)
- 조화가 파괴되어, 정상과 달라진 현상
. 신체의 기능(대사,성장,증식,운동 등) 이상 초래
- 질병 단계 : 잠복기, 전구기, 극기, 회복기
- 진행 속도 : 극증, 급성, 만성
ㅇ 병인 (etiology)
- 인체 항상성을 파괴하고,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 원인별 : 내인 (유전자 변이,면역계 등), 외인 (병원균,바이러스,환경 인자,외상 등)
ㅇ 감염 (infection, 感染)
- 병원체가 생체 조직에 침입 정착하여, 갑자기 증식한 경우
- 감염병(감염성 질환) : 세균,바이러스,기생충 등에 의한 감염
ㅇ 전염 (communicabihty, 傳染)
- 감염이 잇따라 전해지는 상태
- 전염병 : 전염이 가능한 감염병
. 감염병 중에 사람 간의 접촉이나, 물 또는 공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로 옮기는 질병
- (일상적으로, 감염과 전염은 혼용됨)
ㅇ 발병 (onset of disease, 發病, 魃病)
- 감염 등으로 질병 증상이 나타나는 것 (병의 시작)
ㅇ 인수 공통 전염병 (anthropozoonosis)
-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서 발생하는 전염병
- 지구 상에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바이러스,세균,곰팡이 등)가,
약 1400여종 이상 존재하며, 이 중에 2/3 정도가 한 종에서 다른 종으로 전파 가능
ㅇ 종양 (tumor, 腫瘍)
- 체세포가 과잉 증식하는 병
ㅇ 궤양 (ulcer, 潰瘍)
- 점막,각막,피부 근육판을 넘어 조직이 결손(없어지거나 함몰)되는 상태
ㅇ 천식
- 기도가 좁아져 호흡이 어려워지는 증상
ㅇ 만성질환
- 3개월 이상병적인 상태 있는 것
ㅇ 유병률 (prevalence rate, 有病率)
- 어떤 집단에서 병을 갖고있는 사람의 분율
ㅇ 이환율 (morbidity rate, 罹患率)
- 일정 기간 발생한 환자의 수를 인구 1,000 대 1의 비율로 나타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