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토리지 저장 방식 유형
ㅇ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조직,검색,관리되는지에 대한 논리적 구조와 접근 방식에 따른 유형
ㅇ 크게,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3 형태가 있음
2. 블록 스토리지 (Block Storage)
ㅇ 물리적인 디스크 드라이브와 유사한 형태의 저장장치로,
-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번호가 부여된 블록(block) 단위로 구성하여 저장함
- 각 블록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며,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로 매핑되어 관리됨
* [참고] ☞ 디스크 블록 (파일시스템 상의 최소 저장 단위로써, 추상화된 개념) 참조
ㅇ 고성능 입출력(I/O) 작업에 적합하여, 데이터베이스나 운영체제 저장 등에 자주 사용됨
ㅇ 필요에 따라 저장 용량을 유연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어,
- 가상화 환경이나 클라우드 인프라에서도 널리 사용됨
* 例) AWS EBS(Elastic Block Store), Google Persistent Disk 등
3. 파일 스토리지 (File Storage)
ㅇ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전통적인 저장방식
- 디렉터리와 파일이 계층적 구조로 구성됨
- 파일 이름과 경로를 통해 접근하며,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할 수 있음
- 주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형태로 구현됨
* 例) NFS(Network File System), SMB(Server Message Block) 등
4. 오브젝트 스토리지 (Object Storage)
ㅇ 데이터를 오브젝트(object) 단위로 관리하는 현대적 저장방식
- 각 오브젝트는 데이터, 메타데이터, 고유 식별자(ID)로 구성됨
- 파일 경로나 디렉터리 구조 대신, 고유 ID를 통해 직접 접근
-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이미지,동영상,백업 데이터 등)에 적합
- 확장성이 뛰어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됨
* 例)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 OpenStack Swift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