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BQ (Class-Based Queuing)
ㅇ 네트워크 장비에서, 트래픽을 클래스 단위로 분류하고,
- 각 클래스별로 대역폭 및 서비스 정책을 지정하여 전송하는, 큐 관리 기법
ㅇ WFQ(Weighted Fair Queuing), CQ(Custom Queuing), PQ(Priority Queuing),
CB-WFQ(Class-Based Weighted Fair Queuing) 등 다양한 큐 관리 기법을,
하나의 통합적 프레임워크에서 지원
2. 특징
ㅇ 계층적 클래스 구조
- 트래픽을 여러 개의 클래스(Class)로 나누고,
. 각 클래스에 대역폭, 우선순위, 큐잉 방식 등을 할당
- 또한, 계층적으로 설정 가능 → 특정 클래스 내부를 다시 서브클래스로 세분화하여 관리
ㅇ QoS 보장
- 특정 애플리케이션(例: VoIP, 실시간 트래픽)에 높은 우선순위와 보장 대역폭을 부여
. 비실시간 트래픽은 잔여 대역폭을 활용
ㅇ 유연한 정책 적용
- 단순히 "우선순위만" 고려하는 PQ와 달리, CBQ는 여러 큐잉 기법을 조합하여,
. 정책 기반 트래픽 관리(PBR, Policy-Based Routing) 가능
ㅇ 표준화
- CBQ는 IETF에서 제안된 QoS 메커니즘의 일부로,
. 특히 DiffServ(Differentiated Services) 모델 구현에 많이 활용됨
ㅇ 장점
-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유연성
- 클래스별로 최소/최대 대역폭을 보장하면서도 공정성 유지 가능
- 다중 서비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QoS 제공
ㅇ 한계
- 설정 복잡성 : (클래스, 정책, 큐잉 방식 조합을 세밀히 지정해야 함)
- 장비의 처리 성능에 따라 오버헤드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