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5G 무선 접속망

(2025-09-04)

gNB, gNodeB


1.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5G 무선 접속망5G NR(New Radio)과 LTE 기지국(eNodeB/gNodeB)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
     - 3GPP Release 15에서 정의됨


2. NG-RAN의 역할무선 자원 관리QoS 보장
  ㅇ 사용자 위치 관리 및 이동성 관리
  ㅇ 단말과 5G Core 간 데이터 전달 경로 제공
  ㅇ 고속 데이터 전송 및 초저지연 서비스 지원 (URLLC, eMBB, mMTC)


3. NG-RAN의 특징

  ㅇ 분산형,중앙집중형 혼합 구조
     - DU는 사용자 가까이에 배치해 저지연 처리, 
     - CU는 중앙에 배치해 효율적 관리 가능
  ㅇ 클라우드 RAN(C-RAN) 및 가상화 지원  :  NFV/SDN 기반의 유연한 네트워크 운영 가능
  ㅇ 4G5G 간 연동성  :  eLTE eNodeB와의 공존 지원 
     - NSA(Non-Standalone) 구조에서 필수


4. 주요 구성 요소  :  gNB, NG 인터페이스, Xn 인터페이스

  ㅇ gNB, gNodeB (Next Generation NodeB) : 5G NR 전용 기지국 (NG-RAN의 핵심 요소)
     - 기능적으로, CU(Control Unit,중앙제어부), DU(Distributed Unit,분산처리부)로 분리됨
        . 유연한 배치 및 가상화 지원

     - 역할
        . 무선 자원 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 단말 접속/해제 관리
        . 데이터/제어 신호 송수신
        . 핸드오버로밍 지원

  ㅇ NG 인터페이스  :  핵심망 연결  (gNB ↔ 5G Core)
     - NG-RAN과 5G Core(Network Function, NF) 간의 인터페이스
     - NG-C (NG-Control, 제어평면)와 NG-U (NG-User, 사용자 데이터 평면)로 구분
        . NG-C : gNB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연결
        . NG-U : gNB와 UPF(User Plane Function) 연결

     - 기능 
        . 단말 인증
        . 세션 관리
        . 사용자 데이터 전달

  ㅇ Xn 인터페이스  :  기지국 간 연결  (gNB ↔ gNB, eNB ↔ gNB)
     - 기지국 간 직접 연결
        . gNB 간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 핸드오버, 로드 밸런싱, 이웃 셀 정보 교환, 협력 통신(CoMP: Coordinated Multi-Point) 지원

5G
1. 5G (IMT-2020)   2. 5G 용어   3. 5G 코어망   4. 5G 스케줄링   5. Numerology   6. 네트워크 슬라이싱   7. V2X (차량 사물 통신)   8. NG-RAN   9. 엣지 컴퓨팅   10. 5G QoS 모델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