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케인계의 명명법 (IUPAC 명명체계, IUPAC system of nomenclature)
※ (유기화합물의 명명법은, 알케인 이름을 기본으로 명명함)
※ (명명 구조)
- (접두사) - (모체) - (접미사)
. 접두사 (prefix) : 분자 내 다양한 치환기들의 종류,위치,수
. 모체 (parent) : 탄소 수 (가장 긴 탄소 사슬)
. 접미사 (suffix) : 주 작용기 종류
ㅇ 모체명(어미명,oarent)을 명명하되, 분자 중 가장 긴 탄소 사슬을 모체로 함
- 탄소 수에 따른 알케인 이름을, 맨끝에 붙임
ㅇ 탄소에 번호를 붙이되, 가장 긴 탄소 사슬을 기준으로 함
- 시작 번호를, 치환기(곁가지)가 끝에 가깝게 위치한 곳부터, 순서적으로 탄소에 번호를 붙임
ㅇ 번호와 치환기 이름은, 하이픈(-)으로 연결
ㅇ 치환기 이름은, 그 어미를 `-yl`로 바꿔 부름
- 즉, 모체 알케인의, 이름 끝 `-ane`를, `-yl`로 바꿔 명명함
ㅇ 만일, 동일 종류의 치환기가 2 이상이면,
- 그 수를 나타내는 접두어로써, 다이(di,2),트라이(tri,3),테트라(tetra,4) 등을 앞에 붙임
ㅇ 한편, 고리형인 경우에는, `cyclo-`라는 접두어를 씀
2. 명명 例)
ㅇ 가장 긴 탄소 사슬 (8개)의 모체 명명 : 옥텐(C8H18) => 옥테인
ㅇ 치환기 위치 및 개수에 따른 명명
- 3 => 1개(CH3), 4 => 2개(CH3,CH3)
. 위치 : 3,4,4
. 개수 : 3개 => 트라이
. CH3 : 메탄 => 메틸
- 5 => 1개(CH2CH3)
. 위치 : 5
. CH2CH3(C2H6) : 에탄 => 에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