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장치 계층 구조, 메모리 계층

(2023-12-08)

Locality of Reference, 참조의 지역성, 참조 지역성, Principle of Locality, 지역성의 원칙, Hit Miss


1. 기억장치(메모리 시스템)의 계층 구조

  ㅇ 서로 다른 속도 및 크기를 갖는 여러 계층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구조
     - (CPU) ↔ (캐쉬메모리) ↔ (주메모리) ↔ (보조메모리, 자기디스크 등)
 
  ㅇ 상위 계층일수록, (우수한 성능)
     - 더 빠른 접근 시간 (빠름)
     - 더 높은 비트비용 (고가)
     - 더 작은 크기의 용량 (소용량)
     - 더 적은 에너지 소비를 지향함

  ㅇ 계층 간의 이동은,
     - 인접 계층 간에 한 번에 하나씩 (한 블록씩) 이동하게 됨

  ㅇ 例) 컴퓨터 구조 상의 많은 부품들이 기억장치 계층 구조와 관련이 깊음
     - 보조 기억장치는, CPU와 멀리 있는 장치
     - 캐시 메모리는, CPU 내부 또는 CPU와 가장 가까이 있는 장치
     - 레지스터메모리관리장치 (MMU : 가상메모리를 지원하는 장치)는, CPU 내에 있는 장치


2. 참조의 지역성 (Locality of Reference), 지역성의 원칙 (Principle of Locality)

  ㅇ 어떤 데이터가 참조되면, 참조된 그 지역 및 시간 근처에서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원칙

  ㅇ 지역성 원칙을 이용하여, 계층적 설계를 도모함
     - 시간적 지역성 (Temporal Locality) : 최근에 접근했던 데이터들을 프로세서 가까이에 위치시킴
        . 例) 순환문은 명령어와 데이터에 반복적으로 접근하게 됨
     - 공간적 지역성 (Spatial Locality)  : 최근에 접근했던 데이터와 인접한 데이터들을 블록화시킴
        . 例) 명령어, 배열 내 요소 등은 대개 순차적으로 접근됨


3. Hit & Miss (적중 및 실패)

  ㅇ 적중 (Hit)
     - 프로세서가 요구하는 데이터가 상위 계층에 있을 때
     - 적중율 (Hit Ratio) : 메모리 접근 중 상위 계층에서 찾을 수 있는 비율

  ㅇ 실패 (Miss)
     - 프로세서가 요구하는 데이터가 상위 계층에 없을 때
     - 실패율 (Miss Ratio) : 메모리 접근 중 상위 계층에서 찾을 수 없는 비율

메모리 관리
   1. 참조의 지역성 (계층구조)   2. 캐쉬 메모리   3. CAM   4. MMU   5. 가상 메모리   6. 런타임 메모리   7. 메모리 맵핑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기술용어해설 후원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