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ggregation / Supernetting / Summarization (주소 축약, 경로 요약)
ㅇ 여러 네트워크에 할당된 주소 범위를 그룹화시켜, 하나로 묶어 표현하는 것
2. 주소 축약(Address Summarization) 또는 경로 축약(Route Summarization)의 목적
※ 방대한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해결책 => 처리할 엔트리 갯수(라우팅 테이블의 길이)를 짧게 함
ㅇ 여러 네트워크의 공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간략화하자는 것
ㅇ 여러 라우트(Route)를 하나의 라우트로 요약하는 것
- 즉, 네트워크 정보를 요약하여, 라우팅 테이블 내 다루어야할 정보량(처리할 엔트리 수)을 줄여,
. 결국, 메모리 절약, 업데이트 횟수 감소, CPU 부하 경감 등 자원 낭비를 막고자 하는 것임
ㅇ 경로 축약의 또다른 장점으로,
- 라우터 토폴로지의 급격한 변화의 격리 가능
. 비록, 축약된 경로들 내의 라우터 링크들이 Flapping되고(요동치고) 있어도,
. 요약경로는 변하지 않게 됨
3. 주소 축약 방법 例
4. 주소축약을 지원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들 : EIGRP, OSPF, IS-IS, BGP 등
ㅇ 수동 축약 : OSPF, IS-IS
ㅇ 자동 축약 : EIGRP, BGP
5. 주소축약의 반의어 : 서브네팅
ㅇ 서브네팅 (Subnetting)
- 더 큰 네트워크 주소에서 여러 작은 네트워크 주소로 나누는 기법
. IP 네트워크를 더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면서 주소를 Subnet Mask에 의해 나누는 기법
ㅇ 슈퍼넷팅 (Supernetting) ☞ CIDR 참조
- 여러 주소를 마치 하나의 큰 주소 (Supernet)처럼 크게 그룹화
. 이렇게 그룹화시켜 축약하는 기법을 Address Aggregation/Supernetting 이라고 함
6. [참고사항]
ㅇ OSPF에서의 축약 방식
- 축약하려는 대상에 따라 달라짐
- 크게, OSPF 영역의 내부 및 외부를 축약하는 경우로 나뉘어짐
. 내부 : 백본 영역을 중심으로 주변 영역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형태
. 외부 :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로부터 재분배를 통해 유입되는, LSA 타입 5 정보의 축약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