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굴절 (屈折, Refraction)
ㅇ 빛(光) 또는 전파(電波)는 직진성을 가지고 있으나,
- 진행하는 파(波)가 밀도가 다른 매질을 만날 때,
- 그 경계면을 넘어서, 속도가 변하고 진로가 바뀌는 현상
2. 매질 굴절률에 따른 진행방향
※ 굴절율이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진행속도의 차이로 인해 진행방향이 바뀜
- 매질 밀도 때문
ㅇ 동일 매질에서는 직진하지만,
- 굴절율이 더 높은 매질로 나아갈 때 (n1 < n2), 법선 방향으로 가까워짐
- 굴절율이 더 낮은 매질로 나아갈 때 (n1 > n2), 법선 방향에서 멀어짐
ㅇ 소한 매질(진공 등)에서 밀한 매질(고체 등)로 들어갈 때, 법선 방향으로 접근함
- 속도 => 느려짐, 파장 => 짧아짐, (v = λf)
- 굴절률 => 커짐, (n = c/v = c/λf)
- 경계면에서 => 경계면 먼쪽으로 휘어짐
ㅇ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들어갈 때, 법선 방향에서 멀어짐
- 속도 => 빨라짐, 파장 => 길어짐, (v = λf)
- 굴절률 => 작아짐, (n = c/v = c/λf)
- 경계면에서 => 경계면 가깝게 휘어짐
3. 매질 굴절률에 따른 진동수, 파장
ㅇ 서로다른 굴절률의 매질들에서도, 주파수,주기는 동일 함
- 즉, f1 = f2, T1 = T2
. 결국, 다른 매질로 건너갈 때, 진동수는 변하지 않고, 파장 만 변함
4. 매질 굴절률에 따른 각도 변화
ㅇ (굴절 각도 관계)
- 굴절되는 각도 (굴절각) ☞ 스넬의 법칙 (굴절의 법칙)
ㅇ (입사각,굴절각,꺾임각 관계)
- 입사각 α, 굴절각 α', 꺽임각 δ 간의 관계
. δ = α - α'
* 꺽임각 : 입사각과 굴절각 간의 각도 차이
. 입사 광선과 출사 광선 간의 각도 차이
*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꺽임각도 커지게 됨
5. 파장에 따라 다른 굴절률을 보이는 상호작용
ㅇ 굴절 현상은, 빛과 매질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짐 ☞ 분산 참조
- 빛의 속도가, 매질에 따라 달라지며,
. (매질 속도와 빛의 속도 관계)
.. 굴절되는 정도의 정량화 ☞ 굴절률 (매질 간 속도의 比)
- 이에따라, 매질의 굴절 정도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짐
- 결국, 굴절률은, 파장에 따라 달라짐
. 짧은 파장(보라색)이 긴 파장(빨간색)보다 더 많이 꺾임
ㅇ 파장에 따른 굴절률 변화를 관찰 가능한 도구 ☞ 프리즘
- 빛이 프리즘을 통과할 때, 7가지 연속적으로 분리된 색 스펙트럼 형성 : 분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