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용체, 수용기 (sensor, receptor)
ㅇ 생체 내 특정한 자극을 감지하는 단위
- 세포막 또는 세포질에 존재하며,
- 세포 밖에서의 호르몬 또는 환경 자극을 인식하여,
- 세포에 특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 단백질 구조체 (생물학적 분자)
2. 호르몬,신경전달물질 등의 수용체
ㅇ 주로, 외부 특정 분자(리간드,ligand)를 식별하고,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구조체
ㅇ 리간드와 수용체와의 결합 방식 : 수소결합,반데르발스 결합 등
ㅇ 수용체 선택성 : 분자의 크기, 모양, 하전 분포 등
ㅇ 수용체의 결합 - 반응 유형
- 이온성 수용체 (ionotropic receptor)
. 리간드(신경전달물질 등)가 결합하면, 곧바로 이온 통로(채널)가 열리는 수용체
- 대사성 수용체 (metabotropic receptor)
. G-단백질 연관 수용체(GPCR) 등처럼, 리간드가 결합한 뒤,
세포 내의 신호전달 경로(세포 내 신호계)를 활성화시키는 수용체
3. 감각 수용기 (sensory receptor) : (환경 자극에 반응) => 감각기계 참조
ㅇ 외부 환경 자극에 반응하여, 생체 신호로 바꾸는, 특화된 신경 세포 또는 감각 기관
ㅇ (검출 역할) : 환경 자극별 감각 수용(sensory reception) 유형
- 광 수용, 열 수용, 압력 수용 등
ㅇ (변환 역할) : (변환기, transducer)
- 내외부 환경과 신경 계통을 연결하는 부위로써,
. 외부,내부 자극을 전기,화학적 신경 신호로 변환시킴
- 자극을 보통의 세포 내 신호(막 전위의 변화)로 전환시킴
. 자극에 따라, 세포막의 이온 통로가 열리게 되고,
.. 이를 통한 이온의 흐름으로 인해 막전위가 변화함
- 만일, 자극이 역치 이상이면, 이때의 활동 전위는 감각 뉴런을 따라가며,
. 중추신경계로 도달하여, 이곳에서, 유입되는 신경 신호들이 통합됨
ㅇ (세포 형태)
- 시각,청각,미각 수용기 : 변형 상피 세포
. (상피 세포가 변형된 것)
- 후각,피부 감각 수용기 : 신경 세포
. (뉴런 그 자체가 감각 수용기 역할을 함)
4. 감각 수용기의 분류
ㅇ 자극의 종류에 따른 분류
- 기계수용기 (Mechanoreceptor)
. 압력, 진동, 접촉, 신장(stretch) 등의 기계적 자극 감지
. 例) 파치니 소체(진동), 마이스너 소체(촉각), 루피니 소체(피부 신장)
- 온도수용기 (Thermoreceptor)
. 온도의 변화 감지 (차가움/따뜻함)
- 통각 수용기 (Nociceptor)
. 유해 자극(손상 가능성이 있는 기계적, 화학적, 열 자극)을 감지 → “통증” 인식
- 광수용기 (Photoreceptor)
. 빛 감지 → 망막의 간상세포(rod), 원추세포(cone)
- 화학수용기 (Chemoreceptor)
. 화학적 자극 감지 (산소, CO₂, pH, 맛, 냄새 등)
ㅇ 수용부위(위치)에 따른 분류
- 체성 수용기 (Somatic receptor)
. 피부, 근육, 관절 등에 분포 → 촉각, 압력, 진동, 통증, 온도
- 내장 수용기 (Visceral receptor)
. 내장기관 벽에 존재 → 장의 팽창, 허혈, 화학적 변화 감지
- 특수 감각 수용기 (Special senses)
. 시각, 청각, 평형감각, 후각, 미각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