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명과학/뇌과학] 기억이란?
ㅇ 기억은,
- 단순히 사실을 저장하고 회상하는 것만이 아니라,
- 이름,얼굴,장소에서부터 정보,사건,경험, 그리고 그때의 감정 상태에 이르기까지,
- 모든 종류의 정보와 맥락을 포괄함
ㅇ 기억에 관여하는 뇌 영역
- 단일한 "기억 센터" 같은 것은 존재 않음
. 정보는 여러 뇌 부위에서 처리되고, 기억할 것이 선택되어 저장됨
- 예로써, 특정 경험에 대한 기억은,
. 본 것은 시각 영역에, 들은 소리는 청각 영역에 저장되어,
. 이 모든 정보가 결합되어 전체 경험을 회상하게 됨
ㅇ 기억의 형성 방식
- 뉴런 간의 연결과 그 연결의 강화 또는 약화에 의해 형성됨
ㅇ 한편, 공학적으로, 시스템 상태에 대한 상태 기억 관련으로는, ☞ 기억성 참조
2. [생명과학/뇌과학] 기억의 분류
ㅇ 시간 구분 : (정보가 머릿속에 머무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구분)
- 감각 기억 (Sensory memory)
. 외부 자극이 들어왔을 때, 1초 이내의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되는 기억
. 시각(아이코닉, iconic memory), 청각(에코익, echoic memory) 등 감각별로 존재.
. 例) 화면을 스쳐간 장면이 눈앞에 잠시 잔상처럼 남는 현상.
- 단기 기억 (Short-term memory, STM)
. 몇 초~수 분 정도 일시적으로 유지. 용량이 제한적
. 전화번호를 잠깐 외워서 누르는 정도
. 집중(attention)과 작업기억과 밀접하게 연관
. 인코딩과 통합 과정에 의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됨
. 시냅스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여, 해마에서 이루어짐
-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 단기 기억의 일종이나, 단순 저장이 아니라, 저장 + 처리 능력을 포함
. 주로, 전두엽(특히 전전두엽)이 관여
. 例) 머릿속에서 27+56을 계산하기
-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 LTM)
. 수 시간에서 평생까지 지속되는 기억
. 뇌 구조적 변화(시냅스 가소성, LTP 등)를 통해 형성됨
. 명시적(진술적) 기억과 암묵적(비진술적) 기억 모두 장기 기억에 포함됨
ㅇ 의식 구분 : (장기 기억)
- 명시적/의식적 기억 (Explicit memory) = 진술적/서술적 기억
. 의식적으로 떠올리고, 언어로 진술 가능한 기억
.. 사실,사건,경험 등에 관련되어, 저장된 기억의 내용을,
.. 언어,이미지 등를 통해, 설명해 줄 수 있는 기억
.. 例) 일화 기억, 재인, 회상 등
. 일화 기억 (Episodic memory), 에피소드 기억, 이야기 기억 : 개인적 경험 위주
.. 개인적 경험,사건,맥락(시간·장소) 포함
.. 개인이 경험한 특정 사건이나 상황을 기억하는 것으로써,
.. 사건의 발생 시간,장소,상황 등이 연관된 맥락을 포함함
.. 例) 생일 파티에 참석했던 경험이나 여행했던 기억, 체험 등
.. 例) 어제 저녁에 누구와 밥을 먹었는지 등
. 의미 기억 (Semantic memory) : 일반적 지식, 사실
.. 일반적인 지식이나 사실을 기억하는 것으로써,
.. 특정한 시간이나 장소와 관련이 없는 기억을 말함
.. 例) 외국어 단어를 암기하거나 과학 개념을 숙지하는 것
.. 例) 미국 수도가 워싱턴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 고유명사, 영단어, 역사상 인물 등
.. 例)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등
- 암묵적 기억 (Implicit memory) = 비진술적/절차적 기억
. 의식적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나 행동이나 수행을 통해 드러나는 기억
. 절차적 기억 (Procedural memory) : 기술·습관 → 자전거 타기, 피아노 치기
.. 어떤 과제의 해결, 행동의 수행 상에 요구되는 일련의 지식이나 기능에 대한 기억
.. 신체가 기억하고 있는 행동이나 기능에 대한 기억
.. 例) 자전기 타기, 헤엄 치기, 악기 연주, 운전 등 살아가면서 몸으로 습득한 기술과 습관
. 조건화 기억 (Conditioning memory)
.. 고전적 조건형성 (classical conditioning) : 파블로프의 개 실험
..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 스키너 상자 실험
. 프라이밍 (Priming) : 이전 경험이 무의식적으로 이후 반응에 영향
.. 例) "병원"을 본 직후 "간호사" 단어를 더 빨리 인식하는 것
ㅇ 위치 구분
- 해마 (hippocampus)
. 단기 기억 → 장기 기억 전환 : (기억 공고화, consolidation)
. 특히 일화 기억과 의미 기억 형성에 핵심적 역할
- 소뇌 (cerebellum), 기저핵 (basal ganglia)
. 절차적 기억 (운동 기술, 습관) 담당
- 편도체 (amygdala)
. 감정 기억(emotional memory), 특히 공포 학습과 관련
- 대뇌피질 (cerebral cortex)
. 장기 기억 저장소 (특히 의미 기억, 지식적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