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OS (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ㅇ 시스코社의 거의 모든 라우터,스위치 등 장비에서 구현된 그 회사 전용의 운영체제
- 소형에서 대형장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명령어 세트,사용자 인터페이스,운영방식 등으로
가급적 통일성을 기함
- 따라서, 하나의 장비에서 익힌 명령어를 다른 유형의 장비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
* 그러나, 실제 장비별로 IOS 커널 이미지가 전부 달라서,
. 다른 종류 장비의 IOS 커널 이미지를 이식할 수 없으며,
. 해당 장비 특유의 명령어 세트가 있게됨
※ [참고] 주요 명령어들 ☞ Cisco IOS Commands 참조
2. 장비 접근 및 입력 방식
ㅇ 콘솔 포트 : 노트북 또는 터미널 직접 접속 (롤오버 케이블 등)
ㅇ 보조 포트 : 모뎀 접속
ㅇ 원격 접속 : 텔넷 또는 SSH 접속
- 패스트 이더넷 포트
- 시리얼 포트
3. 장비 환경설정/운용모드
ㅇ 사용자모드(User mode) : Router>
ㅇ 특권모드(Privileged mode) : Router#
- 설정 모드(Configuration mode)
. 글로벌(전역) 환경설정 모드
.. global mode : Router(config)#
. 특정 인터페이스,터미널 라인,각 라우팅 프로토콜 등의 설정을 위한 모드
.. interface mode : Router(config-if)#
.. line mode : Router(config-line)#
.. router mode : Router(config-router)#
- 셋업 대화 모드(Setup mode)
. 초보자를 위해 최소한의 기본 구성 만 가능한 대화식 구성방식
※ 모드 간 전환방법
- 사용자모드에서 특권모드로의 진입 : enable
. 글로벌 모드로의 진입 : configure terminal
. 해당 인터페이스 모드로의 진입 : interface (인터페이스명칭) (모듈/포트)
. 셋업모드로의 진입 : setup
- 특권모드에서 사용자모드로 복귀 : disable, exit, end, Ctrl-C
4. 특징 및 기타사항
ㅇ 저장 위치
- IOS 이미지의 위치 : 내장형 Flash Memory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됨
- 설정/구성 파일 저장 위치 : NVRAM
ㅇ 장비 시동 단계
- POST(Power On Self Test) : 장비 하드웨어 점검 및 기능 확인
- IOS 로드 : 플래시 메모리에 있는 IOS 이미지를 찾아서 로드함
- 설정 파일 : NVRAM에서 설정 파일(startup-configuration 파일)을 찾아서 적용
ㅇ 시스코 IOS에서는 다음 4가지의 큐잉 기법이 가능
- FIFO (디폴트 설정), Priority Queuing (PQ), Custom Queuing (CQ),
Weighted Fair Queuing (WFQ)
ㅇ [참조] ☞ 시스코 라우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