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워딩 테이블(Forwarding) 및 라우팅 테이블(Routing)
ㅇ 포워딩 테이블 (Forwarding Table/Database)
- 입력 포트의 수신 패킷을 어느 출력 포트로 보낼 것인가를 나타낸 표 테이블
. 입출력 포트 연결 테이블
. 스위치 및 라우터 장비 모두 관리
ㅇ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Database)
- 포워딩 테이블 및 최적 라우팅 정보를 모두 나타낸 표 테이블
. 원격 네트워크나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경로 정보가 들어있음
. 라우터 장비에서 관리
2. 라우팅 테이블에 담겨지는 정보
ㅇ 포워딩 테이블 : 패킷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
-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이곳으로 가기위한 라우터의 출구 포트에 대한 정보
ㅇ 루트 테이블 : 라우팅 정보를 나타낸 표 테이블
- 모든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최적 경로가 결정된 표 테이블
. 각 원격 네트워크 경로[통신]에 대해 계산된 어떤 수치 값(Routing Metrics)을 갖음
- 보통, 6개 정도까지의 최적 루트를 계산해내며,
. 이들 사이에 트래픽을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함
3. 라우팅 테이블에서, 네트워크 경로(루트)의 구분
ㅇ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경로 : 라우터에 바로 연결된 네트워크
ㅇ 원격 네트워크 경로 : 라우터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 정적 경로 : 관리자가 직접 수동 입력
- 동적 경로 :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자동 계산
4.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보는 명령어 例
ㅇ Cisco社 라우터에서,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보는 명령어 : show ip route
- 주요 출력 정보 항목
. 학습 방법 :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 또는 수작업 등로부터 얻어지었는가
.. R : RIP derived
.. O : OSPF derived
.. C : directly connected
.. S : static
.. B : BGP derived
.. * : 디폴트 라우트 등
. Administrative Distance : 위 학습방법이 신뢰되는 정도 (수치 작을수록 더 신뢰됨)
. 목적지 네트워크 :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여러 관련 정보(IP 주소,서브넷 등)
. 서브넷 정보 : 서브넷 수량, 서브넷 마스크 길이
. 라우팅 메트릭 : 최적 경로 서열 값
. Next Hop 주소 :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가기위한 바로 다음의 라우터 IP 주소
. Age : 해당 루트 정보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나타냄
. 출력 인터페이스 : 다음 홉으로 보내는 인터페이스 정보
* [참고] ☞ 시스코社 해당 명령어 용법
ㅇ PC 윈도우즈에서,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보는 명령어 : route print
5. 라우팅 테이블의 갱신
ㅇ 이웃 라우터끼리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주고 받으며,
- 각 라우터는 자신의 테이블을 갱신
ㅇ 만일, 라우팅 테이블에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없으면,
- 라우터는 이 패킷을 폐기함
. 이때, 라우터는 Destination Unreachable 라는 ICMP 메세지를 출발지에 보냄
6. 라우팅 테이블의 효율성 관리
ㅇ 라우팅 테이블은, 통상 라우터에서 비교적 빠른 RAM 상에 위치함
- 라우팅 테이블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사실 좋은 라우터의 조건임
ㅇ 규모 큰 네트워크의 경우에, 수천개 이상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 라우팅 테이블이 비대해지면 경로 검색을 위한 시간 및 프로세싱 자원이 많이 필요
- 따라서, 경로 요약(Route Summarization)과 같은 기능이 필요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