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SS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 항법 시스템)
  ㅇ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 지구적 측위 및 항법 시스템의 일반 명칭
     - 지상 물체의 위치,고도,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ㅇ 구분
     - GNSS (Global NSS,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 RNSS (Regional NSS,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
2. 주요 GNSS 시스템의 例
  ㅇ 미국   :  GPS
     - 미 국방성에서 1970년대 초반부터 개발해온 군용시스템 
        . 1973년 군사용 무기의 항법 유도를 위해 개발 시작
        . 1981년 ~ 1994년까지 위성을 발사하여, 6개 궤도면에 24기로 GPS 위성 네트워크 구성
           .. (21개 GPS 위성이 항법에 사용, 나머지는 예비)
     - 민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위성 전파 항법/측위 시스템 (제한된 범위에서 민간 사용)
  ㅇ 러시아 :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ㅇ 유럽   :  Galileo 
     - 고도 23,616km에 30개 위성이 경사각 56도로 3개의 원궤도에 위치, 신호 송출
     - 2008년 이후 상용화 추진 중
  ㅇ 중국   :  BeiDou (베이더우, 北斗)
  ※ [용어 통일]
     - 유엔에서는 GPS,Galileo,GLONASS 모두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라는 단일 용어로 총칭
3. GNSS의 특징
  ㅇ 위성에서 수신기까지 전파도달 시간으로, `거리` 및 `위치` 측정 가능
  ㅇ 정확한 3차원 위치, 속도, 시각 측정                             ☞ GPS 오차 참조
     - 전세계적인 지구중심좌표계에 의해 표현
     * WGS 84 (미국 GPS 기준 좌표계, World Geodatic System)          ☞ 지구중심 좌표계 참조
        . 1984년에 만들어지고, 2004년에 개정됨
  ㅇ 간섭과 방해에 강함                                              ☞ GPS 신호 참조
     - 확산대역 통신 방식을 사용 등
  ㅇ 전 지구적, 24시간, 전천후, 무제한 수의 사용자 이용가능 등
4. GNSS의 활용
  ㅇ 시각 동기 (Time Synchronization) 분야                            ☞ GPS 시간
     - 일반 시각 동기 분야
        . 동기신호망에 사용되는 신형 DOTS의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활용
           .. 참고로, GPS 위성군은 그 자체로 하나의 망동기방식으로 운용됨
     - 고정밀 시각 비교 분야
  ㅇ 측위 (Positioning) 분야                                          ☞ GPS 측위
     - 위성(기지점)으로부터 GPS 수신기까지의 전파도달거리로 수신지점의 3차원적 위치 결정
  ㅇ 측량 (Surveying) 분야   : 간섭 측위                              ☞ GPS 측량
     - 기지점(참조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미지점의 좌표를 구하는 방법
        . 4 이상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하고 위상차를 이용
     - 종류 
        . 후처리 방식 : 정지 측량(static survey), 이동 측량(kinematic survey) 등
        . 실시간 방식 : RTK (Real Time Kinematic surveying) 측량
  ㅇ 항법 (Navigation) 분야, 자세결정분야, 위치기반서비스(LBS) 등
5. GNSS 시스템의 구성
  ㅇ 위성부             :  위성체                                    ☞ GPS 위성
  ㅇ 제어부(지상관제부) :  위성 제어
  ㅇ 사용자부           :  수신기 장착 (군용 및 일반 사용자로 구분)  ☞ GPS 수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