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전송

(2025-05-06)

전송 기술, 전송 매체


1. 전송 (Transmission) 이란?

  ㅇ 요구되는 정보 신호 또는 전력을 전송 매체를 통해 공간의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전달하는 기능

  ㅇ 전송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3대 요소/기능 (단말, 교환, 전송) 중 하나


2. [통신]  전송 주요 기술변조  :  신호를 전송매체의 채널 특성에 맞춰 변환
     - 아날로그변조(진폭변조,각변조 등), 디지털변조 등

  ㅇ 부호화  :  전송 과정에서 오류를 줄이는 변환 과정   ☞ 채널부호화 구분 참조
     - 블록 부호화 (선형블록부호, 순회부호), 컨볼루션 부호화
     - 에러검출코드, 에러정정코드
     - 파형부호화, 구조화된 코딩(조직적 부호)

  ㅇ 다중화  :  전송 설비효율적 이용
     - 다중화 영역에 따라 : (주파수) FDM, (시간) TDM, (공간) SDM, (파장) WDM 등
     - 동기 여부에 따라
        . 비동기식 다중화 : 서로 다른 클록(유사 동기)으로 여러 단계로 나눠 다중화하는 기술 (PDH)
        . 동기식 다중화 : 동일한 기준 클럭에 따라 여러 신호들을 한번에 다중화시키는 기술 (SDH)

  ㅇ 다원접속  :  시간,주파수,공간 등을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케 함
     - FDMA, TDMA, CDMA, Random Access 등

  ㅇ 듀플렉싱  :  상향/하향 분리 등을 통해 동시 양방향 전송, 이중화 전송 등을 가능케함
     - 동시 가능, 방향에 따라   : 단방향(Simplex), 반이중(Half Duplex), 전이중(Full Duplex)
     - 이중화 분할 영역에 따라 : 주파수분할이중화(FDD), 시간분할이중화(TDD) 등


3. [통신]  전송 형태 구분 

  ㅇ 전송 매체(매질)에 따라
     - 유선 전송 (동케이블, 동축케이블, 광케이블케이블을 통한 전송)
     - 무선 전송 (공기 등)

  ㅇ 전송 신호에 따라  :  아날로그 전송,  디지털 전송

  ㅇ 전송 방식에 따라  :  병렬 전송,  직렬 전송

  ㅇ 전송 구간에 따라  :  가입자 전송,  국간 전송 (기간 전송, 백본 전송) 

  ㅇ 소자 모델에 따라  :  분포소자모델,  집중소자모델


4. [통신]  전송 속도, 용량전송 속도전송률 참조
     - 어떤 한계 내에서 데이터가 보내지는 속도

  ㅇ 전송 용량    ☞ 채널 용량 참조
     - 정보 전송률의 한계를 정하게되는 3개의 파라미터들(W,S,N) 간의 관계


5. [통신]  전송망 (전송 네트워크, 수송망) 

  ㅇ 주로, 전송 만을 위해, 전송장치 및 전송로 등으로 구성된 물리적인 연결 망
     - 사실상, 통신 서비스 제공의 기반 인프라로서 중요 역할 수행

  ㅇ 전송망의 핵심 요소 넷(4)
     - 다중화 (Multiplexing : FDM, TDM, WDM 등), 
       대용량 전송 (High-capacity : Tera bps급까지 용량 확장 등), 
       분기 결합 (Add/Drop : ADM, ROADM 등), 교차 연결(Cross-connect : DXC/OXC 등)

  ㅇ 전송망모델화 방식
     - 계층화 (Layering) 모델 : 전달망을 서로 독립적인 수직적인 계층망(Layer Network)로 바라다 봄
     - 분할화 (Partitioning) 모델 : 각 계층망의 내부구조를 링크와 부분망(Sub-networks)으로 세분화

  ㅇ 例) 통신사업자들의 대규모 전송망, 방송사의 방송망, 기업의 사설망 등


6. [통신]  전송 기술 발전

  ㅇ 유선 전송 기술 발전
     - 비동기식전송 (PDH) → 동기식전송방식 (SDH/SONET) → 파장 기반 대용량 (WDM/DWDM) → 
       OTN (WDM 기반 + SDH 구조 통합) → 향후, 전광통신(AON, All Optical Network) 기술 도모

  ㅇ 무선 전송 기술 발전
     - 고정 통신이동 통신, 위성 통신7. [참고사항]

  ㅇ 이상적인 전송 조건   ☞ 이상적인 무왜곡 전송 참조
     - 전송 채널 전체의 시스템 주파수 응답 특성이 상수이득선형위상을 갖어야함

  ㅇ 전송 관련 설비     ☞ 전송시설/전송장비/전송장치 참조
     - 통상, 교환망에서 교환점 상호간에 다중화 전송 전용의 관련시설을 총칭

  ㅇ 잡음 있는 물리 회선을 에러 없는 통신 채널로 변환시키는 계층데이터링크계층 참조

전송 - 기초기술
1. 전송   2. 전송망   3.
주요전송기술
  4.
다중화 (Multiplexing)
  5.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
  6.
이중화(Duplexing)
  7.
에러제어(검출/정정)
  8.
디지털 오류 및 성능
  9.
신호계위
  10.
PCM
  11.
전송(기타)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
[전송 - 기초기술]1. 전송   2. 전송망   3. [주요전송기술]   4. [다중화 (Multiplexing)]   5.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   6. [이중화(Duplexing)]   7. [에러제어(검출/정정)]   8. [디지털 오류 및 성능]   9. [신호계위]   10. [PCM]   11. [전송(기타)]  

  1. Top (분류 펼침)      :     1,608개 분류    6,641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