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신 분야] 신뢰성
ㅇ [ 일반 통신분야 ]
- `신뢰성 있는` = `오류가 없는` 통신 (Reliable Communication)
. 전송되는 신호가 오류,왜곡 등에 덜 취약하도록 하는 기술
* 신뢰적 통신에 대한 기본적인 한계 ☞ 채널 용량 참조
* 디지털통신에서, 신뢰성 척도 ☞ 오류확률, 비트오류율 참조
ㅇ [ 데이터 통신분야 ]
- 데이터 패킷의 신뢰적 전달 (Reliable Delivery Service)
.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전달을 완전히 보장(소실,중복,지연,순서역전 등의 방지)
* 신뢰성 없는 링크를 신뢰성 있는 링크로 만드는 방법들로는,
. 프레임(패킷) 순서번호의 유지, 흐름제어, 자동재전송요구(ARQ), 에러제어 등
2. [품질 분야] 신뢰성
ㅇ 신뢰성 이란?
- 일정 기간 동안 규정된 조건하에 주어진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대비 개념 : 고장(Failure) 또는 파손(Failure)
- 신뢰성 vs 신뢰도
. 신뢰성 (Reliability) : 시간적 안정성에 관련된 개념의 품질 특성
. 신뢰도 (Reliability) : 신뢰성(시간적 안정성) 정도를 확률로 표시한 것
ㅇ 신뢰성 공학의 태동 및 확대
-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에서 복잡한 군사용 전자장비(특히,진공관)의 빈번한 고장으로 인해,
. "예방 중심의 체계적 신뢰성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
- 1957년 AGREE(전자기기신뢰성자문위원회)에서 최초 신뢰성연구보고서 발간
- 1950년대 이후 신뢰성 공학이 독립된 공학 분야로 발전
- 군수, 항공, 우주, 원자력, 의료 등 고신뢰 시스템 분야를 중심으로 확산
ㅇ 신뢰성의 구성 요소 (4 요소) : 신뢰성 규정시 반드시 명시해야 할 항목
- 대상 (item) : 부품, 장비, 시스템 등 평가 단위
- 요구 기능 (function) : 수행해야 할 명시적 역할
- 요구 조건 (condition) : 사용 환경·운용 조건
- 요구 기간 (time) : 요구되는 수명 또는 운용 시간 (수명)
ㅇ 수명 추정 및 평가
- 수명 추정 : 신뢰성 공학의 중심적 테마 임
. 수명(Lifespan)은 확률 변수로 취급되며, 수명 분포(Life Distribution) 를 통해 모델링됨
- 수명 평가 : 신뢰성 시험 (Reliability Test)
. 제품 수명 및 고장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
.. 시험 종류 : 가속수명시험, 환경시험 등
ㅇ 신뢰성 설계 및 예방 활동 : (신뢰성은, 설계 초기 단계부터 반영되어야 함)
- 신뢰성 설계 (Reliability Design) : 설계 단계부터 고장을 예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
-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 잠재적 결함 원인을 분석, 이를 설계에 반영
- 예방 유지보수 (Predictive Maintenance) : 데이터 기반 고장 예측 및 예방적 조치 설계에 반영
※ [참고] ☞ 신뢰성 공학 용어 참조
- 신뢰성 척도(신뢰도,비신뢰도,고장률 등),고장 및 장애,신뢰성 시험,BIT 등
3. [품질 분야] `품질 관리`, `신뢰성 관리` 비교
※ [범례 : ① 품질 관리, ② 신뢰성 관리]
ㅇ 관점 : ① 정적인 관점 (Static), ② 동적인 관점 (Dynamic)
ㅇ 초점 : ① 특정 시점의 품질 성능 (평가관리), ② 전체 수명에 걸친 품질 성능 유지 (미래예측)
ㅇ 관리 : ① 정적인 특성 관리, ② 시간적 안정성 관리
ㅇ 목표 : ① 현상의 유지, ② 현상의 개선
ㅇ 품질 : ① 합치의 품질, ② 설계의 품질
ㅇ 분야 : ① 제조,검사, ② 설계, 보전
ㅇ 분포 : ① 정규분포, ② 지수분포 및 와이블분포
ㅇ 모수 : ① 평균, ② 평균수명(MTBF,MTTF), 고장률
ㅇ 검사 : ① 불량률, ② 고장률
        (건강상의 이유로 편집 등 활동이 원활하지 못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